[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소프트웨어 개발 –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거리가 먼 것은? (2020년 1회)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18.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중 요구사항 분석(Requirements Analysis)과 거리가 먼 것은?
① 비용과 일정에 대한 제약 설정
② 타당성 조사
③ 요구사항 정의 문서화
④ 설계 명세서 작성
✅ 정답: ④ 설계 명세서 작성
📘 개념 설명: 요구사항 분석이란?
요구사항 분석은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 단계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문서화하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는 **무엇을 개발할 것인가?**에 집중하며,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는 설계 단계에서 다룹니다.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수행되는 활동
- 사용자 요구사항 수집
- 타당성 조사 (기술적/경제적/운영상 가능 여부)
- 기능/비기능 요구사항 구분
-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
- 프로젝트의 비용, 일정, 범위에 대한 제약사항 분석
🔍 정답 해설
보기 ④ **“설계 명세서 작성”**은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이 끝난 뒤 설계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입니다.
요구사항 분석은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정의에 중점을 두며,
설계 명세는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를 설계하는 활동입니다.
✅ 따라서 정답은 ④ 설계 명세서 작성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비용과 일정 제약 설정
→ 요구사항의 현실성과 실행 가능성을 따지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됩니다. - ② 타당성 조사
→ 시스템이 실제로 구현 가능한지 검토하는 작업으로, 요구사항 분석 초기 단계에 포함됩니다. - ③ 요구사항 정의 문서화
→ 가장 핵심적인 활동으로, 분석 결과를 문서화하여 후속 단계에서 참조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핵심 요약
- 요구사항 분석은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정리하는 단계입니다.
- 설계 명세서 작성은 설계 단계의 활동이므로, 요구사항 분석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다음 중 UML에서 구조 다이어그램(Structure Diagram)이 아닌 것은? (0) | 2025.05.29 |
---|---|
19. 공통 모듈에 대한 명세 기법 중 해당 기능에 대해 일관되게 이해되고 한 가지로 해석될 수 있도록 작성하는 원칙은? (0) | 2025.05.29 |
17. 트랜잭션이 올바르게 처리되고 있는지 데이터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미들웨어는? (0) | 2025.05.28 |
16. 확장 모델에서 스테레오타입 객체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UML 기호로 맞는 것은? (0) | 2025.05.28 |
15. 데이터 흐름도(DFD)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0) | 202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