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문제풀이/정보처리기사 2020년 3회

18. 자료흐름도(Data Flow Diagram)의 구성 요소로 옳은 것은?

by 게토레이쉐이크 2025. 6. 2.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해설] 18번 – 자료흐름도(DFD)의 기본 구성 요소는?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3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18. 자료흐름도(Data Flow Diagram)의 구성 요소로 옳은 것은?

① process, data flow, data store, comment
② process, data flow, data store, terminator
③ data flow, data store, terminator, data dictionary
④ process, data store, terminator, mini-spec


 정답: ② process, data flow, data store, terminator


💡 자료흐름도(DFD) 개념 설명

**자료흐름도(DFD, Data Flow Diagram)**는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흐르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다이어그램입니다.
프로세스 중심 설계에서 사용되며, 데이터의 흐름, 처리, 저장, 출입을 명확히 표현하는 데 유용합니다.

자료흐름도의 4가지 기본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Process (처리 기능)
     →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가공하는 기능. 원형 또는 둥근 사각형으로 표현됨
  2. Data Flow (자료 흐름)
     → 데이터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로 표현
  3. Data Store (자료 저장소)
     → 시스템 내부의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등 저장소를 의미하며, 평행선으로 표현
  4. Terminator (외부 개체)
     → 시스템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용자 또는 다른 시스템. 사각형으로 표현

🔍 정답 해설

문제는 자료흐름도의 구성 요소로 옳은 것을 묻고 있습니다.
보기 ②는 DFD의 핵심 구성 요소인 process, data flow, data store, terminator를 정확히 포함하고 있으므로 정답입니다.

①의 comment(주석), ③의 data dictionary, ④의 mini-spec은 자료흐름도를 보완하는 설계 산출물이지, DFD의 구성 요소 자체는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comment
→ 설계자 설명 등을 위한 주석이며, DFD 구성 요소가 아님

 data dictionary
→ 자료 사전으로, DFD에 사용된 데이터의 상세 설명을 담는 문서화 도구

 mini-spec
→ 프로세스의 세부 명세서로, 자료흐름도 외부 구성 요소가 아님


🎯 핵심 요약

  • 자료흐름도(DFD)는 데이터 중심 시스템 분석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모델링 도구입니다.
  • DFD는 반드시 process, data flow, data store, terminator의 4요소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 주석, 자료사전, 상세명세는 보조 요소이지, DFD의 직접 구성 요소는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