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반정규화(Denormalization) – 중복 테이블 추가에 해당하지 않는 것 (2020년 1회)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기출문제 원문
40. 반정규화(Denormalization) 유형 중 중복 테이블을 추가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빌드 테이블의 추가
② 집계 테이블의 추가
③ 진행 테이블의 추가
④ 특정 부분만을 포함하는 테이블 추가
✅ 정답: ① 빌드 테이블의 추가
📘 개념 설명: 반정규화(Denormalization)
**반정규화(Denormalization)**란, 정규화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성능 향상이나 응답 속도 개선을 위해 중복을 일부 허용하는 설계 기법입니다.
중복 테이블을 추가하는 주요 기법
- 집계 테이블(Aggregate Table)
→ 자주 조회되는 합계, 평균 등을 미리 계산하여 저장
→ 예: 월별 매출합계, 고객별 구매 건수 등 - 진행 테이블(History Table)
→ 상태의 변경 이력을 별도로 관리
→ 예: 주문 처리 상태 변경 기록 등 - 특정 부분 테이블
→ 일부 컬럼 또는 조건만 따로 떼어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로 구성
🔍 정답 해설
**① ‘빌드 테이블(Build Table)’**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반정규화 기법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흔히 사용되는 **중복 테이블 설계 유형(집계, 진행, 부분 테이블 등)**에 포함되지 않으며,
문제에서 묻는 "중복 테이블 추가"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정답은 ① 빌드 테이블의 추가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② 집계 테이블
→ 미리 계산된 집계값을 저장하여 성능을 개선하는 대표적 반정규화 기법입니다. - ③ 진행 테이블
→ 상태 변화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중복 테이블 기법입니다. - ④ 특정 부분 테이블
→ 전체 테이블에서 자주 쓰이는 컬럼만을 분리하여 중복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 핵심 요약
- 반정규화는 성능 개선 목적의 설계 전략으로, 일부 중복을 허용합니다.
- 일반적인 중복 테이블 기법에는 집계 테이블, 진행 테이블, 부분 테이블이 포함됩니다.
- ‘빌드 테이블’은 공식 용어가 아니므로 해당하지 않습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데이터베이스 설계 실무 사례 및 반정규화 전략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 테이블에 독일어과 학생 50명, 중국어과 학생 30명, 영어영문학과 학생 50명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때 다음 두 SQL 문의 실행 결과 튜플 수는? (0) | 2025.05.31 |
---|---|
41. SQL의 분류 중 DDL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0) | 2025.05.31 |
39. 소스코드 품질 분석 도구 중 정적 분석 도구가 아닌 것은? (0) | 2025.05.31 |
38.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의 구축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0) | 2025.05.31 |
37. ISO/IEC 9126의 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중 기능성(Functionality)의 하위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0) | 202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