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문제풀이/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40. 반정규화(Denormalization) 유형 중 중복 테이블을 추가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by 게토레이쉐이크 2025. 5. 31.

[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반정규화(Denormalization) – 중복 테이블 추가에 해당하지 않는 것 (2020년 1회)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기출문제 원문

40. 반정규화(Denormalization) 유형 중 중복 테이블을 추가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빌드 테이블의 추가
② 집계 테이블의 추가
③ 진행 테이블의 추가
④ 특정 부분만을 포함하는 테이블 추가


✅ 정답: ① 빌드 테이블의 추가


📘 개념 설명: 반정규화(Denormalization)

**반정규화(Denormalization)**란, 정규화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성능 향상이나 응답 속도 개선을 위해 중복을 일부 허용하는 설계 기법입니다.

중복 테이블을 추가하는 주요 기법

  • 집계 테이블(Aggregate Table)
    → 자주 조회되는 합계, 평균 등을 미리 계산하여 저장
    → 예: 월별 매출합계, 고객별 구매 건수 등
  • 진행 테이블(History Table)
    → 상태의 변경 이력을 별도로 관리
    → 예: 주문 처리 상태 변경 기록 등
  • 특정 부분 테이블
    → 일부 컬럼 또는 조건만 따로 떼어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로 구성

🔍 정답 해설

**① ‘빌드 테이블(Build Table)’**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반정규화 기법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흔히 사용되는 **중복 테이블 설계 유형(집계, 진행, 부분 테이블 등)**에 포함되지 않으며,
문제에서 묻는 "중복 테이블 추가"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정답은 ① 빌드 테이블의 추가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② 집계 테이블
    → 미리 계산된 집계값을 저장하여 성능을 개선하는 대표적 반정규화 기법입니다.
  • ③ 진행 테이블
    → 상태 변화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중복 테이블 기법입니다.
  • ④ 특정 부분 테이블
    → 전체 테이블에서 자주 쓰이는 컬럼만을 분리하여 중복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 핵심 요약

  • 반정규화는 성능 개선 목적의 설계 전략으로, 일부 중복을 허용합니다.
  • 일반적인 중복 테이블 기법에는 집계 테이블, 진행 테이블, 부분 테이블이 포함됩니다.
  • ‘빌드 테이블’은 공식 용어가 아니므로 해당하지 않습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데이터베이스 설계 실무 사례 및 반정규화 전략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