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문제풀이/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59. 참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DROP 문에서 부모 테이블의 항목 값을 삭제할 경우 자동적으로 자식 테이블의 해당 레코드를 삭제하기 위한 옵션은?

by 게토레이쉐이크 2025. 5. 31.

[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59번 – 참조 무결성 옵션: CASCADE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기출문제 원문

59. 참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DROP 문에서 부모 테이블의 항목 값을 삭제할 경우 자동적으로 자식 테이블의 해당 레코드를 삭제하기 위한 옵션은?

  ① CLUSTER
  ② CASCADE
  ③ SET-NULL
  ④ RESTRICTED


✅ 정답: ② CASCADE


📘 개념 설명: 참조 무결성과 ON DELETE 옵션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은 외래키(Foreign Key) 제약조건을 통해
부모 테이블의 기본키와 자식 테이블의 외래키 간 관계를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부모 테이블의 데이터가 삭제되었을 때 자식 테이블의 행동을 결정하는 옵션이 필요하며,
대표적인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CASCADE: 부모 데이터 삭제 시 자식 데이터도 함께 삭제됨
  • SET NULL: 부모 데이터 삭제 시 자식의 외래키를 NULL로 설정
  • RESTRICTED: 부모 데이터가 참조 중이면 삭제를 거부
  • NO ACTION: RESTRICTED와 유사 (표현 방식 차이)

이 문제에서처럼 "부모 데이터를 삭제할 때 자식 데이터도 함께 삭제되도록" 설정하려면
CASCADE 옵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 정답 해설

문제는 “부모 테이블 항목 값을 삭제할 때 자동으로 자식 테이블의 레코드도 삭제”하는 동작을 묻고 있습니다.
이 동작은 참조 무결성 옵션 중에서 CASCADE가 담당합니다.

  즉,
  부모 → 삭제됨
  자식 → 자동 삭제됨

따라서 정답은 ②번 CASCADE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CLUSTER: 데이터 저장 방식과 관련된 옵션으로 무결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 ③ SET-NULL: 자식 테이블의 외래키를 NULL로 설정할 뿐, 삭제하지 않습니다.
  • ④ RESTRICTED: 자식이 존재할 경우 부모의 삭제를 거부하는 옵션입니다.

🎯 핵심 요약

  • CASCADE는 부모 데이터 삭제 시 자식 데이터도 함께 삭제하도록 하는 옵션입니다.
  • 참조 무결성에서 부모-자식 관계를 유지하면서 삭제·갱신 옵션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옵션들과의 차이를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SQL 외래키 제약조건 및 ON DELETE/UPDATE 옵션 정리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