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문제풀이/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64. 시스템에서 모듈 사이의 결합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by 게토레이쉐이크 2025. 5. 31.

[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64번 – 결합도(Coupling)에 대한 설명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기출문제 원문

64. 시스템에서 모듈 사이의 결합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한 모듈 내에 있는 처리요소들 사이의 기능적인 연관 정도를 나타낸다.
  ② 결합도가 높으면 시스템 구현 및 유지보수 작업이 쉽다.
  ③ 모듈 간의 결합도를 약하게 하면 모듈 독립성이 향상된다.
  ④ 자료결합도는 내용결합도보다 결합도가 높다.


✅ 정답: ③ 모듈 간의 결합도를 약하게 하면 모듈 독립성이 향상된다


📘 개념 설명: 결합도(Coupling)란?

**결합도(Coupling)**는 모듈 간의 상호 의존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하나의 모듈이 다른 모듈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결합도가 높을수록 모듈 간 관계가 밀접하여 변경이 어렵고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낮을수록 모듈 간 독립성이 커져 변경이나 재사용이 쉬워집니다.

결합도의 종류(강 → 약):

  - 내용 결합 (Content Coupling): 한 모듈이 다른 모듈 내부에 직접 접근
  - 공통 결합 (Common Coupling): 공통 데이터 영역을 공유
  - 외부 결합 (External Coupling): 외부 인터페이스(파일, 디바이스 등)를 공유
  - 제어 결합 (Control Coupling): 제어 정보를 전달
  - 스탬프 결합 (Stamp Coupling): 자료구조 전체를 전달
  - 자료 결합 (Data Coupling): 필요한 데이터만 인자로 전달
  → 자료 결합이 가장 약한 결합, 가장 바람직한 형태입니다.


🔍 정답 해설

정답인 ③번은 결합도의 기본 원칙을 바르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결합도를 낮추면 모듈 간 상호 의존성이 줄어들고,
모듈 독립성이 향상되어 유지보수성과 재사용성이 좋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③번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한 모듈 내에 있는 처리요소들 사이의 기능적인 연관 정도를 나타낸다
      → 이는 결합도가 아니라 **응집도(Cohesion)**에 대한 설명입니다.
  • ② 결합도가 높으면 시스템 구현 및 유지보수 작업이 쉽다
      → 결합도가 높을수록 모듈 간 영향이 커지므로 오히려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
  • ④ 자료결합도는 내용결합도보다 결합도가 높다
      → 반대로, 내용결합도가 가장 강하고, 자료결합도가 가장 약한 결합입니다.

🎯 핵심 요약

  • 결합도는 모듈 간의 의존성을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 결합도가 낮을수록 모듈 독립성이 높아지고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 결합도보다 응집도를 높이고, 결합도는 낮추는 것이 이상적인 소프트웨어 설계입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모듈화 설계 원칙: 결합도(Coupling) vs 응집도(Cohesion)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