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77번 – 응집도(Cohesion)가 가장 낮은 형태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기출문제 원문
77. 응집도가 가장 낮은 것은?
① 기능적 응집도
② 시간적 응집도
③ 절차적 응집도
④ 우연적 응집도
✅ 정답: ④ 우연적 응집도
📘 개념 설명: 응집도(Cohesion)란?
**응집도(Cohesion)**는 하나의 모듈이 얼마나 관련 있는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응집도가 높을수록 모듈 내 요소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좋은 설계로 간주됩니다.
응집도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분류됩니다 (낮은 순서 → 높은 순서).
- 우연적 응집(Coincidental): 관련 없는 기능들이 단순히 묶여 있음
- 논리적 응집(Logical): 유사한 유형의 기능들이 하나로 모여 있음 (예: 입출력 처리)
- 시간적 응집(Temporal): 실행 시점이 비슷한 기능들이 함께 존재
- 절차적 응집(Procedural): 특정 절차를 따르는 여러 기능이 함께 구성됨
- 통신적 응집(Communicational):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능들이 모여 있음
- 순차적 응집(Sequential): 한 기능의 출력이 다음 기능의 입력이 되는 방식
- 기능적 응집(Functional): 단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 최고의 응집도
🔍 정답 해설
보기 ④의 **우연적 응집도(Coincidental Cohesion)**는 모듈 내 기능들이 아무 연관 없이 단순히 묶여 있는 상태로,
가장 낮은 수준의 응집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응집도가 가장 낮은 것"을 묻는 이 문제의 정답은 ④번 우연적 응집도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기능적 응집도: 응집도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단일 기능 중심의 모듈 구성입니다.
- ② 시간적 응집도: 유사한 시점에 수행되는 작업들을 함께 구성한 수준으로 낮은 편입니다.
- ③ 절차적 응집도: 특정 절차에 따라 기능이 연결된 형태로, 중간 수준의 응집도입니다.
🎯 핵심 요약
- 응집도는 모듈 내부의 구성 요소들이 얼마나 관련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 가장 낮은 응집도는 **우연적 응집(Coincidental)**이며, 좋은 설계를 위해 피해야 합니다.
- 정답은 ④번 우연적 응집도입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소프트웨어 설계 원리: 응집도와 결합도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79. 스크립트 언어가 아닌 것은? (1) | 2025.06.01 |
---|---|
78. JAVA 언어에서 접근제한자가 아닌 것은? (0) | 2025.06.01 |
76. IPv6의 주소체계로 거리가 먼 것은? (1) | 2025.06.01 |
75. 프로세스 상태의 종류가 아닌 것은? (0) | 2025.06.01 |
74. IPv6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0) | 2025.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