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해설] 1번 –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거리가 먼 기술은?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3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1. 요구사항 분석 시에 필요한 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청취와 인터뷰 질문 기술
② 분석과 중재기술
③ 설계 및 코딩 기술
④ 관찰 및 모델 작성 기술
✅ 정답: ③ 설계 및 코딩 기술
💡 요구사항 분석 개념 설명
**요구사항 분석(Requirement Analysis)**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첫 단계로, 사용자의 필요를 명확히 이해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문서화하는 작업입니다.
이 단계는 이후의 설계, 구현, 테스트 등 모든 개발 활동의 기반이 되며, 정확하고 일관된 분석 없이는 전체 프로젝트의 방향이 흐려질 수 있습니다.
요구사항 분석에는 다양한 기술이 활용됩니다.
대표적으로 인터뷰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업무를 관찰해 흐름을 이해하며, 상충되는 요구를 조정하는 분석 능력과 시각적 모델링 기술이 요구됩니다.
🔍 정답 해설
이 문제는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어떤 기술이 사용되는지를 묻고 있습니다.
보기 ①, ②, ④는 모두 요구사항 분석에 핵심적으로 활용되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③ 설계 및 코딩 기술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다음 단계에서 사용되므로, 요구사항 분석과는 거리가 먼 기술입니다.
즉, 설계 및 코딩은 분석이 끝난 뒤에 진행되는 후속 작업의 영역이며,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과정에서는 주로 문제 이해력, 커뮤니케이션, 분석 능력이 더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① 청취와 인터뷰 질문 기술
→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요구사항을 직접 파악하는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수단입니다.
② 분석과 중재기술
→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충돌하는 요구사항을 조율하는 데 필요한 기술입니다.
④ 관찰 및 모델 작성 기술
→ 실제 업무 환경을 관찰하고, 이를 다이어그램 등 시각적 모델로 정리하여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 핵심 요약
- 요구사항 분석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출발점으로, 이후 모든 단계의 기반이 되는 핵심 활동입니다.
- 이 단계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능력, 분석력, 관찰력, 모델링 기술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 설계나 코딩 기술은 분석이 완료된 이후 설계 및 구현 단계에서 사용됩니다.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3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UML에서 시퀀스 다이어그램의 구성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0) | 2025.06.02 |
---|---|
5. 미들웨어 솔루션의 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0) | 2025.06.02 |
4. 애자일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0) | 2025.06.02 |
3. 럼바우 객체 지향 분석과 거리가 먼 것은? (0) | 2025.06.02 |
2.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디자인 패턴은? (0) | 202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