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해설] 3번 – 럼바우의 객체지향 분석 모델과 거리가 먼 것은?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3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3. 럼바우 객체 지향 분석과 거리가 먼 것은?
① 기능 모델링
② 동적 모델링
③ 객체 모델링
④ 정적 모델링
✅ 정답: ④ 정적 모델링
💡 럼바우 객체지향 분석 기법 개념 설명
럼바우(Rumbaugh)의 객체지향 분석 기법은
객체지향 방법론의 대표적인 분석 기법으로,
현실 세계의 개체(객체)와 행위(동작)를 분석하고 모델링하여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럼바우는 객체지향 분석을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주요 모델을 정의했습니다:
- 객체 모델(Object Model): 시스템의 구조를 표현하며, 클래스와 객체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모델링
- 동적 모델(Dynamic Model):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객체의 상태 변화와 상호작용을 표현
- 기능 모델(Functional Model): 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과 그 흐름을 데이터 흐름도로 표현
이 세 모델은 각각 무엇(정적 구조), 언제/어떻게(행동), **무엇을 수행하는지(기능)**를 설명합니다.
분석의 목적은 세 모델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완전하고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 정답 해설
문제는 럼바우 객체지향 분석 기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묻고 있습니다.
① 기능 모델링, ② 동적 모델링, ③ 객체 모델링은 모두 럼바우 분석 기법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하지만 ④ 정적 모델링은 럼바우 분석의 구성 요소 명칭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혼동하기 쉬운 점은 객체 모델링이 시스템의 정적 구조를 다루기 때문에,
정적이라는 표현이 연상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정적 모델링’이라는 용어 자체는 럼바우 기법의 세 모델 중 하나로 분류되지 않으며,
문제에서 요구한 정확한 명칭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 정적 모델링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① 기능 모델링
→ 시스템이 수행해야 할 기능들을 데이터 흐름도로 표현하는 모델로, 처리 흐름 중심 분석입니다.
② 동적 모델링
→ 이벤트에 따른 객체의 상태 변화, 시나리오, 상호작용 등을 모델링합니다.
③ 객체 모델링
→ 클래스, 속성, 연산, 관계 등을 통해 시스템의 구조적 요소를 분석하고 표현합니다.
🎯 핵심 요약
- 럼바우 분석 기법은 객체 모델, 동적 모델, 기능 모델의 세 가지 관점에서 시스템을 분석합니다.
- 이 모델들은 각각 구조, 동작, 기능을 설명하며, 상호보완적으로 사용됩니다.
- 정적 모델링은 객체 모델의 성격과 유사하지만, 럼바우의 공식 모델 분류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3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UML에서 시퀀스 다이어그램의 구성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0) | 2025.06.02 |
---|---|
5. 미들웨어 솔루션의 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0) | 2025.06.02 |
4. 애자일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0) | 2025.06.02 |
2.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디자인 패턴은? (0) | 2025.05.26 |
1. 요구사항 분석 시에 필요한 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0) | 202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