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해설] 14번 – UML의 클래스 간 관계 중 일반화에 해당하는 것은?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3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14. 아래의 UML 모델에서 '차' 클래스와 각 클래스의 관계로 옳은 것은?
① 추상화 관계
② 의존 관계
③ 일반화 관계
④ 그룹 관계
✅ 정답: ③ 일반화 관계
💡 UML 클래스 간 관계 개념 설명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에서 클래스 간의 관계는 객체지향 설계의 핵심입니다.
대표적인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화(Generalization):
→ 상위 클래스(부모)의 공통된 특성을 하위 클래스(자식)가 상속받는 관계
→ “~은 ~이다(is-a)” 관계로 이해되며, 재사용성과 확장성 향상에 기여
→ 예: 차는 승용차, 트럭, 버스의 상위 개념 - 의존(Dependency):
→ 한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잠시 사용하는 관계로, 변경에 민감한 약한 관계 - 추상화(Abstraction):
→ 공통된 특성을 추출한 개념적 관계로, 실질적인 클래스 연결보다 상위 개념 정리 용도 - 그룹 관계:
→ UML 표준에는 포함되지 않는 용어로, 오답 유도용 보기
🔍 정답 해설
문제에서 '차(Car)'와 '승용차', '트럭' 등의 관계는 **차가 일반적인 개념(상위 클래스)**이며,
다른 클래스들이 구체적인 하위 클래스인 관계를 의미합니다.
이는 UML에서 말하는 일반화(Generalization) 관계이며, 상속 관계로 표현되며 "is-a" 관계로 해석됩니다.
즉, '트럭'은 '차'의 일종이다 → 일반화 관계.
따라서 정답은 ③ 일반화 관계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① 추상화 관계
→ 여러 클래스에서 공통 요소만 뽑아 개념화하는 것으로 관계 표현보다는 개념 정리에 가깝습니다.
② 의존 관계
→ 임시적으로 참조하거나 사용할 경우 사용하는 관계로, 상속과는 무관
④ 그룹 관계
→ UML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비표준 용어
🎯 핵심 요약
- UML의 일반화 관계는 클래스 간 상속을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구조입니다.
- '차 → 승용차/트럭/버스'는 명확한 상속 구조이자 일반화 관계로, 코드 재사용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 UML 설계 시 클래스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면 객체지향 설계의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3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자료 사전에서 자료의 반복을 의미하는 것은? (0) | 2025.06.02 |
---|---|
15.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설계 시 디자인 패턴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0) | 2025.06.02 |
13.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것은? (1) | 2025.06.02 |
12. UML에서 활용되는 다이어그램 중 시스템의 동작을 표현하는 행위 다이어그램(Behavioral Diagram)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0) | 2025.06.02 |
11.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0)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