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해설] 15번 – 디자인 패턴의 구성 요소와 관련 없는 항목은?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3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15.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설계 시 디자인 패턴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개발자 이름
② 문제 및 배경
③ 사례
④ 샘플코드
✅ 정답: ① 개발자 이름
💡 디자인 패턴 구성 요소 개념 설명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은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검증된 해결책을 일반화한 설계 템플릿입니다.
GoF(Gang of Four)가 제안한 대표적인 디자인 패턴은 객체지향 설계에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크게 높여주는 수단입니다.
디자인 패턴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패턴 이름(Name): 패턴을 식별할 수 있는 명확한 명칭
- 문제(Problem): 어떤 상황에서 이 패턴이 필요한지, 어떤 문제가 반복되는지 설명
- 해결(Solu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설계 구조 및 접근 방식
- 결과(Consequences): 적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과 고려사항
- 사례(Example), 샘플코드: 패턴의 실제 활용 예시나 구현 예제
🔍 정답 해설
문제는 디자인 패턴의 구성 요소로 부적절한 것을 묻고 있습니다.
① 개발자 이름은 패턴의 적용과 무관하며, 구성 요소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반면 ② 문제 및 배경, ③ 사례, ④ 샘플코드는 모두 디자인 패턴을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한 핵심 구성 요소에 해당합니다.
패턴은 개발자의 이름이 아니라, 패턴 자체의 구조와 문제 해결 방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개발자 이름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② 문제 및 배경
→ 이 패턴이 필요하게 된 상황과 맥락을 설명하는 필수 요소
③ 사례
→ 패턴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보여주는 구체적인 예
④ 샘플코드
→ 이론적으로 설명된 패턴을 실제 코드로 보여주는 예시로 실무에 매우 유용
🎯 핵심 요약
- 디자인 패턴은 반복되는 설계 문제에 대한 구조화된 해결책입니다.
- 주요 구성 요소는 문제, 해결, 사례, 이름, 샘플 코드 등이 있으며,
개발자 이름은 패턴 구조나 적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3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객체지향 설계 원칙 중 서브타입(상속받은 하위 클래스)은 어디에서나 자신의 기반타입(상위클래스)으로 교체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원칙은? (0) | 2025.06.02 |
---|---|
16. 자료 사전에서 자료의 반복을 의미하는 것은? (0) | 2025.06.02 |
14. 아래의 UML 모델에서 '차' 클래스와 각 클래스의 관계로 옳은 것은? (0) | 2025.06.02 |
13.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하나 이상의 유사한 객체들을 묶어서 하나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한 것은? (1) | 2025.06.02 |
12. UML에서 활용되는 다이어그램 중 시스템의 동작을 표현하는 행위 다이어그램(Behavioral Diagram)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0)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