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트리 구조 – 차수와 단말 노드 수 (2020년 1회)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22. 다음 트리의 차수(degree)와 단말 노드(terminal node)의 수는?
보기 차수 단말 노드 수
① | 4 | 4 |
② | 2 | 4 |
③ | 4 | 8 |
④ | 2 | 8 |
✅ 정답: ② 차수: 2, 단말 노드: 4
📘 개념 설명
🔹 차수(Degree)란?
- 트리에서 한 노드가 가지는 자식 노드의 수입니다.
- 트리 전체의 차수는 모든 노드 중 가장 자식이 많은 노드의 자식 수입니다.
🔹 단말 노드(Terminal Node 또는 Leaf Node)
- 자식 노드가 없는 노드를 의미합니다.
- 트리 구조에서 말단에 있는 노드로, 더 이상 분기하지 않습니다.
🔍 정답 해설
이미지를 기준으로 노드별 자식 수를 살펴보면:
- A → 자식 2개 (B, C)
- B → 자식 1개 (D)
- C → 자식 2개 (E, F)
- E → 자식 2개 (G, H)
- D, F, G, H → 자식 없음 → 단말 노드
✅ 요약
- 최대 자식 수는 2 → 차수: 2
- 단말 노드는 D, F, G, H → 총 4개
✅ 따라서 정답은 ② 차수: 2, 단말 노드: 4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차수 4, 단말 노드 4
→ 4개의 자식을 가진 노드는 없습니다. - ③ 차수 4, 단말 노드 8
→ 노드 수도 맞지 않고, 차수도 과장되었습니다. - ④ 차수 2, 단말 노드 8
→ 단말 노드 수가 실제보다 많습니다.
🎯 핵심 요약
- 트리 차수: 자식 수가 가장 많은 노드의 자식 수
- 단말 노드 수: 자식이 없는 노드의 총 개수
- 이미지 기반 문제는 직접 노드를 세어가며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