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문제풀이/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23. 검증 검사 기법 중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개발자가 앞에서 행하는 기법이며 일반적으로 통제된 환경에서 사용자와 개발자가 함께 확인하면서 수행되는 검사는?

by 게토레이쉐이크 2025. 5. 30.

[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소프트웨어 검증 – 알파 테스트 (2020년 1회)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개발


23. 검증 검사 기법 중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개발자가 앞에서 행하는 기법이며 일반적으로 통제된 환경에서 사용자와 개발자가 함께 확인하면서 수행되는 검사는?

① 동치 분할 검사
② 형상 검사
③ 알파 검사
④ 베타 검사


✅ 정답: ③ 알파 검사


📘 개념 설명: 알파 테스트와 베타 테스트

소프트웨어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실사용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사전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가 바로 알파 테스트 베타 테스트입니다.

✅ 알파 테스트 (Alpha Test)

  • 개발자 또는 개발사 내부에서 수행하는 테스트
  • 일반적으로 통제된 환경에서
  • 실제 사용자가 참여하여 개발자 앞에서 테스트
  • 버그를 사전에 최대한 찾아내기 위한 목적

✅ 베타 테스트 (Beta Test)

  • 외부 사용자 또는 실제 고객이 참여
  • 실제 사용 환경에서 수행
  • 오류 및 불편사항을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수집

🔍 정답 해설

문제에서 제시한 조건:

  • “개발자의 장소에서”
  • “사용자가 개발자 앞에서 행하는”
  • “통제된 환경”에서 수행

→ 이는 알파 테스트의 정의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 따라서 정답은 ③ 알파 검사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동치 분할 검사
    → 테스트 데이터를 몇 개의 등가 클래스(동등 그룹)로 나누어 각 범주에 대한 대표값으로 테스트하는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입니다.
  • ② 형상 검사
    → 소프트웨어의 **형상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와 관련된 절차를 점검하는 것으로, 검증 기법과는 별개입니다.
  • ④ 베타 검사
    → 사용자 입장에서 실제 환경에서 실행하며 피드백을 받는 테스트로, 개발자 앞에서 진행하지 않습니다.

🎯 핵심 요약

  • 알파 테스트: 개발자 환경에서 사용자와 개발자가 함께 직접 테스트
  • 베타 테스트: 실제 사용자 환경에서 사용자 단독으로 피드백
  • 문제에서 요구한 조건은 전형적인 알파 테스트의 정의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