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문제풀이/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45. 데이터 무결성 제약조건 중 ‘개체 무결성 제약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by 게토레이쉐이크 2025. 5. 31.

[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데이터 무결성 – 개체 무결성 제약 조건 (2020년 1회)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기출문제 원문

45. 데이터 무결성 제약조건 중 ‘개체 무결성 제약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① 릴레이션 내의 튜플들이 각 속성의 도메인에 지정된 값만을 가져야 한다.
② 기본키에 속해 있는 애트리뷰트는 널 값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다.
③ 릴레이션은 참조할 수 없는 외래키 값을 가질 수 없다.
④ 외래키 값은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해야 한다.


✅ 정답: ② 기본키에 속해 있는 애트리뷰트는 널 값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다


📘 개념 설명: 데이터 무결성 제약조건

데이터 무결성이란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약 조건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무결성 제약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체 무결성(Entity Integrity)

  • 기본키(PK)는 반드시 고유(unique)해야 하며, NULL 값을 가질 수 없습니다.
  • → 테이블의 각 레코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제약 조건입니다.

✅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 외래키(FK)는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키에 존재하는 값만 가질 수 있습니다.

✅ 도메인 무결성(Domain Integrity)

  • 각 속성(Attribute)의 값은 **정해진 도메인(데이터 타입, 범위 등)**을 따라야 합니다.

🔍 정답 해설

문제는 **“개체 무결성 제약조건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을 묻고 있습니다.

  • 보기 는 "기본키는 NULL도, 중복도 허용되지 않는다"는 개체 무결성의 정의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도메인 무결성에 해당함
  •  참조 무결성에 해당함
  •  외래키 제약에 대한 설명으로 참조 무결성과 관련 있음

🎯 핵심 요약

  • 개체 무결성 → 기본키는 중복 불가, NULL 불가
  • 문제에서 개체 무결성의 정의를 정확히 설명한 선택지는 ②번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무결성 제약조건 요약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