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함수 종속 – 이행적 함수 종속 관계 (2020년 1회)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기출문제 원문
46. 이행적 함수 종속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① A → B, B → C 일 때 A → C
② A → B, B → C 일 때 C → A
③ A → B, B → C 일 때 B → A
④ A → B, B → C 일 때 C → B
✅ 정답: ① A → B, B → C 일 때 A → C
📘 개념 설명: 이행적 함수 종속(Transitive Functional Dependency)
이행적 함수 종속이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어떤 속성 A가 속성 B를 결정하고, B가 속성 C를 결정할 때,
A가 C를 결정하는 간접적 종속 관계를 의미합니다.
형식:
- A → B
- B → C
- ⇒ A → C (이행적 함수 종속)
🔍 정답 해설
보기 ①에서 설명된 관계:
- A → B (A가 B를 결정함)
- B → C (B가 C를 결정함)
- ⇒ 따라서 A → C (이행적 함수 종속)이 됩니다.
✅ 정답은 ① A → B, B → C 일 때 A → C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② C → A: 역방향이므로 함수 종속 성립 아님
- ③ B → A: 주어진 종속 관계에 반하는 방향
- ④ C → B: 전혀 정의되지 않은 방향의 종속 관계
🎯 핵심 요약
- 이행적 함수 종속은 A → B, B → C일 때,
A → C가 성립하는 간접적 결정 관계입니다. - 이는 **제3정규형(3NF)**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종속 형태입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데이터베이스 설계 이론 및 종속 관계 설명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8.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삽입,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은? (0) | 2025.05.31 |
---|---|
47. SQL에 해당하는 명령 중 DML에 해당하는 것만 나열된 것은? (0) | 2025.05.31 |
45. 데이터 무결성 제약조건 중 ‘개체 무결성 제약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0) | 2025.05.31 |
44. 정규화 과정 중 1NF에서 2NF가 되기 위한 조건은? (0) | 2025.05.31 |
43. 다음 두 릴레이션에서 외래키로 사용된 것은? (단, 밑줄 친 속성은 기본키이다.) (0) | 202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