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문제풀이/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6. 소프트웨어 설계 시 구축된 플랫폼의 성능 특성 분석에 사용되는 측정 항목이 아닌 것은?

by 게토레이쉐이크 2025. 5. 25.

[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소프트웨어 성능 분석 – 성능 측정 항목이 아닌 것은? (2020년 1회)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기출문제 원문

6. 소프트웨어 설계 시 구축된 플랫폼의 성능 특성 분석에 사용되는 측정 항목이 아닌 것은?

① 응답시간(Response Time)
② 가용성(Availability)
③ 사용률(Utilization)
④ 서버 튜닝(Server Tuning)


✅ 정답: ④ 서버 튜닝


📘 개념 설명: 소프트웨어 성능 측정 항목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거나 구축한 후에는 시스템 성능 특성을 측정하여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주요 성능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능 항목설명
응답시간 요청에 대한 응답이 완료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가용성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율
사용률 시스템 자원(CPU, 메모리 등)이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냄
 

이 세 가지는 성능 분석의 대표적인 핵심 지표입니다.


🔍 정답 해설

문제에서 묻는 것은 **"성능 분석에 사용되지 않는 항목"**입니다.

  • 서버 튜닝은 성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행하는 행위 또는 작업의 일종이지, 성능을 측정하는 항목 자체는 아닙니다.
  • 따라서 측정 지표에 해당하지 않는 보기 ④번이 정답입니다.

 정답은 ④ 서버 튜닝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응답시간 (Response Time)
    → 사용자가 요청을 보낸 후 시스템이 응답을 완료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입니다.
    → 성능 평가 시 가장 기본이 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 ② 가용성 (Availability)
    → 시스템이 얼마나 오랫동안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 “99.9% 가용성”과 같이 표현되며, 장애 발생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③ 사용률 (Utilization)
    → CPU, 디스크, 네트워크 등의 자원이 얼마나 사용되고 있는지를 측정합니다.
    → 자원 낭비나 과부하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 핵심 요약

  • 응답시간, 가용성, 사용률은 모두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 지표입니다.
  • 반면 서버 튜닝은 성능 향상을 위한 조치로서 측정 항목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문제에서 "분석에 사용되지 않는 항목"을 묻고 있으므로, 정답은 ④번입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소프트웨어 성능 공학(PERF) 기초 이론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