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 E-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은? (2020년 1회)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기출문제 원문
4.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중 E-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객체의 행위를 모델링하며, 객체 식별, 구조식별, 주체 정의, 속성 및 관계 정의, 서비스 정의 등의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은?
① Coad & Yourdon 방법
② Booch 방법
③ Jacobson 방법
④ Wirfs-Brock 방법
✅ 정답: ① Coad & Yourdon 방법
📘 개념 설명: Coad & Yourdon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Coad & Yourdon 방법론은 객체지향 분석 방법 중 하나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E-R 다이어그램 기반으로 객체를 모델링합니다.
- 분석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객체 식별
- 구조 식별 (객체들 간 관계 정의)
- 주체 정의 (어떤 객체가 어떤 역할을 하는가)
- 속성과 관계 정의
- 서비스 정의 (객체가 제공해야 하는 기능 정의)
💡 이 방법론은 객체의 구조와 행위를 데이터 모델 기반으로 정리한다는 점에서 E-R 기반 분석법의 대표적인 예시로 자주 출제됩니다.
🔍 정답 해설
문제에서 제시한 설명에 가장 부합하는 방법론은 Coad & Yourdon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론과 달리 E-R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객체를 식별하고 관계 및 서비스를 정의하는 절차를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Coad & Yourdon 방법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② Booch 방법
→ 주로 시스템 아키텍처 중심으로 접근하며, 정적/동적 모델링에 강점을 둡니다.
→ E-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지 않고, 객체 다이어그램과 상태 다이어그램 등을 중점적으로 활용합니다. - ③ Jacobson 방법 (OOSE)
→ Use Case(사용 사례) 중심의 분석 방법입니다.
→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데이터 모델보다는 행위 중심입니다. - ④ Wirfs-Brock 방법
→ 책임 주도 설계(Responsibility-Driven Design) 기법입니다.
→ 클래스의 책임과 협력을 강조하며, 설계적인 측면에서 객체 간 역할을 분명히 하는 데 집중합니다.
🎯 핵심 요약
- Coad & Yourdon 방법은 E-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객체의 구조와 행위를 분석하는 방법론입니다.
- 객체 식별 → 구조 정의 → 서비스 정의 등의 명확한 단계가 있으며, 객체 모델링에 데이터 중심 접근을 취합니다.
- 나머지 보기들은 각각 다른 관점의 분석 방법론이지만, E-R 기반 분석은 아닙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객체지향 분석 및 설계 원론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소프트웨어 설계 시 구축된 플랫폼의 성능 특성 분석에 사용되는 측정 항목이 아닌 것은? (1) | 2025.05.25 |
---|---|
5. 코드 설계에서 일정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의 코드는? (0) | 2025.05.25 |
3. 객체지향 기법에서 클래스들 사이의 부분-전체 관계 또는 ‘부분의 관계(is-a-part-of)’로 설명되는 연관성을 나타내는 용어는? (2) | 2025.05.25 |
2. 객체지향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추상화하는 단위는? (0) | 2025.05.24 |
1. GoF(Gang of Four)의 디자인 패턴에서 행위 패턴에 속하는 것은? (1) | 202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