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문제풀이/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1. GoF(Gang of Four)의 디자인 패턴에서 행위 패턴에 속하는 것은?

by 게토레이쉐이크 2025. 5. 24.

[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디자인 패턴 – 행위 패턴에 해당하는 것은? (2020년 1회)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소프트웨어 설계


❓ 기출문제 원문

1. GoF(Gang of Four)의 디자인 패턴에서 행위 패턴에 속하는 것은?

① Builder
② Visitor
③ Prototype
④ Bridge


✅ 정답: ② Visitor


📘 개념 설명: GoF 디자인 패턴의 분류

GoF(Gang of Four) 디자인 패턴은 객체지향 설계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론으로, 총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유형설명대표 패턴
생성(Creational) 객체 생성 방법에 중점을 둔 패턴입니다. Builder, Prototype 등
구조(Structural) 클래스나 객체들을 조합하여 더 큰 구조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둡니다. Bridge, Adapter 등
행위(Behavioral) 객체 간의 상호작용과 책임 분배를 정의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Visitor, Observer, Strategy 등
 

🔍 정답 해설: Visitor가 왜 행위 패턴일까요?

Visitor 패턴은 객체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새로운 기능(행위)을 외부에서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된 **행위 패턴(Behavioral Pattern)**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 종류의 객체가 존재할 때, 각 객체에 공통적인 기능(예: 출력, 합산 등)을 추가하고 싶다면, 객체 내부를 수정하지 않고 외부에 Visitor 클래스를 만들어 각 객체를 “방문”하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능을 분리하고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이 Visitor 패턴의 핵심이며, 바로 이러한 특징 때문에 행위 패턴으로 분류됩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Builder
    객체 생성과 관련된 생성(Creational) 패턴입니다.
    복잡한 객체를 단계적으로 생성할 때 사용되며, HTML 생성기나 문서 생성기 등에 활용됩니다.
  • ③ Prototype
    이 역시 생성 패턴으로, 기존 객체를 복사하여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Java의 clone() 메서드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 ④ Bridge
    구조(Structural) 패턴이며, 추상화와 구현을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변경이 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
    UI나 렌더링 시스템에서 자주 등장하는 설계 방식입니다.

🎯 정리 포인트

  • Visitor는 객체의 구조를 수정하지 않고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행위 패턴입니다.
  • 보기 중에서 행위 패턴에 속하는 것은 Visitor 하나뿐이며, 나머지는 생성 또는 구조 패턴입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GoF 디자인 패턴 (Design Patterns: Elements of Reusable Object-Oriented Software)』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