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69번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정보통신 일반
❓ 기출문제 원문
69. TCP/IP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은?
① UDP
② ARP
③ TCP
④ ICMP
✅ 정답: ② ARP
📘 개념 설명: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네트워크 계층(IP 주소)과 데이터링크 계층(MAC 주소) 사이의
주소 변환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예를 들어, 한 컴퓨터가 특정 IP 주소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실제로는 해당 IP 주소를 가진 장치의 MAC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이때 ARP는 IP 주소 → MAC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ARP는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동작하며,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MAC 주소를 요청합니다.
- 변환된 MAC 주소는 ARP 캐시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반복 요청을 줄입니다.
🔍 정답 해설
ARP는 IP 주소를 해당하는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므로,
문제에서 묻는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기능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②번 ARP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UDP: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주소 변환과는 무관합니다.
- ③ TCP: 신뢰성 있는 연결을 제공하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MAC 주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④ ICMP: 네트워크 상태 확인(Ping 등)에 사용되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입니다.
🎯 핵심 요약
- ARP는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해주는 필수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 전송 계층 프로토콜(UDP, TCP)이나 진단용 프로토콜(ICMP)과는 목적이 다릅니다.
- 정답은 ②번 ARP입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TCP/IP 네트워크 계층별 기능 및 프로토콜 비교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 교착 상태 발생의 필요충분조건이 아닌 것은? (0) | 2025.06.01 |
---|---|
70. HRN(Highest Response-ratio Next) 스케줄링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0) | 2025.05.31 |
68. IEEE 802.11 무선 LAN의 QoS 강화를 위해 MAC 계층에서 지원 기능을 채택한 것은? (0) | 2025.05.31 |
67. 은행가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은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어떤 기법에 해당하는가? (0) | 2025.05.31 |
66. C 언어에서 배열 b[5]의 값은? (0) | 202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