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70번 – HRN(Highest Response-ratio Next) 스케줄링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정보통신 일반
❓ 기출문제 원문
70. HRN(Highest Response-ratio Next) 스케줄링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기 시간이 긴 프로세스일 경우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② SJF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방식이다.
③ 긴 작업과 짧은 작업 간의 지나친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
④ 우선순위를 계산하여 그 수치가 가장 낮은 것부터 높은 순으로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 정답: ④ 우선순위를 계산하여 그 수치가 가장 낮은 것부터 높은 순으로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 개념 설명: HRN 스케줄링이란?
**HRN(Highest Response-ratio Next)**는
대기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선순위가 높아지는 방식으로,
**SJF(Shortest Job First)**의 단점을 보완한 비선점형 스케줄링 기법입니다.
우선순위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순위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시간
이 계산 결과가 클수록 우선순위가 높으며,
짧은 작업뿐 아니라 대기 시간이 긴 작업도 적절히 선택되므로
**기아 현상(Starvation)**이 줄어듭니다.
🔍 정답 해설
보기 ④는 “우선순위를 계산하여 그 수치가 가장 낮은 것부터 높은 순으로 우선순위가 부여된다”고 설명했지만,
HRN에서는 우선순위 수치가 높을수록 우선권이 부여됩니다.
즉, 가장 높은 우선순위 수치를 가진 작업이 먼저 실행되어야 하므로 보기 ④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번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대기 시간이 긴 프로세스일 경우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 우선순위 식에 대기 시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옳은 설명입니다. - ② SJF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방식이다
→ HRN은 SJF의 짧은 작업 편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입니다. - ③ 긴 작업과 짧은 작업 간의 지나친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
→ 대기 시간이 고려되므로, 기아 현상이 줄어들어 공정성이 향상됩니다.
🎯 핵심 요약
- HRN은 비선점형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우선순위 수식에 따라 계산된 값이 클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가집니다. - SJF의 문제점인 기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입니다.
- 정답은 잘못된 설명을 담은 ④번입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요약: FCFS, SJF, HRN 비교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
'기출문제풀이 > 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72. 다음의 페이지 참조열에 대해 페이지 교체 기법으로 선입선출(FIFO)을 사용할 경우 페이지 부재(Page Fault) 횟수는? (1) | 2025.06.01 |
---|---|
71. 교착 상태 발생의 필요충분조건이 아닌 것은? (0) | 2025.06.01 |
69. TCP/IP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은? (0) | 2025.05.31 |
68. IEEE 802.11 무선 LAN의 QoS 강화를 위해 MAC 계층에서 지원 기능을 채택한 것은? (0) | 2025.05.31 |
67. 은행가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은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어떤 기법에 해당하는가? (0) | 202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