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출문제풀이/정보처리기사 2020년 1, 2회

71. 교착 상태 발생의 필요충분조건이 아닌 것은?

by 게토레이쉐이크 2025. 6. 1.

[정보처리기사 기출 해설] 71번 – 교착 상태의 필요충분조건

📌 출처: 2020년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 과목: 정보통신 일반


❓ 기출문제 원문

71. 교착 상태 발생의 필요충분조건이 아닌 것은?

  ①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②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③ 환형 대기(circular wait)
  ④ 선점(preemption)


✅ 정답: ④ 선점(preemption)


📘 개념 설명: 교착상태(Deadlock) 발생 조건

운영체제에서 **교착상태(Deadlock)**는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자원을 기다리며
무한정 대기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태가 발생하려면 다음 4가지 조건이 동시에 성립해야 합니다.

  1.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자원을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할 수 있음
  2.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자원을 보유한 상태로 다른 자원을 요청하며 대기함
  3. 비선점(no preemption): 자원을 강제로 회수할 수 없음
  4. 환형 대기(circular wait):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순환적으로 기다림

이 중 **선점(preemption)**은 자원을 강제로 회수하는 것으로,
위의 네 가지 조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정답 해설

문제는 “교착상태 발생의 필요충분조건이 아닌 것”을 묻고 있으며,
보기 ④는 선점 가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오히려 교착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조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번 선점(preemption)**입니다.


❌ 보기별 오답 해설

  • ① 상호 배제: 자원은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교착 조건 맞음
  • ② 점유와 대기: 자원을 점유한 상태로 추가 자원을 기다림 → 교착 조건 맞음
  • ③ 환형 대기: 각 프로세스가 순서대로 자원을 요청하며 서로를 기다림 → 교착 조건 맞음

🎯 핵심 요약

  • 교착상태 발생에는 ① 상호 배제, ② 점유와 대기, ③ 비선점, ④ 환형 대기 조건이 모두 필요합니다.
  • 보기 ④의 선점 가능은 해당 조건을 깨뜨려 교착상태를 예방할 수 있는 조건입니다.
  • 따라서 정답은 ④번입니다.

📎 참고자료

  •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집 (2020년 1회)』
  • 교착상태 발생 조건 요약 및 예방 기법
  •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기사 시험 문제지